|
|
Google 처럼 시장을 맘대로 주무르면서 편하게 사업하는 기업도 없다는 없는 것 같지만, 사실 알고보면 Google 도 많은 실패를 겪었던 전력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Google Wallet 을 들 수 있는데요. Googl..
2일전, 애플은 iTunes Pass 라는 Apple Store 에 한해 사용할 수 있는 선불형 지불시스템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미국과 호주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용국가를 늘렸다고 발표했습니다. iTunes Pa..
Microsoft 와 삼성이 Intel 주도의 OIC 에 참여한다는 뉴스가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이번에는 Nest 가 주도하는 Thread Group 에 ARM 과 삼성이 참여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Nest 는 Goo..
NFC 와 Bluetooth 의 승부는 아직 전운이 감도는 하지만, 본격적인 전투는 벌어지지 않은 전장과도 같습니다. 대체적인 평가로는 POS 같이 물리적인 접촉행위가 소비자에게 안심을 주거나 비교적 자유롭게 통행해도 괜찮은 ..
Open Interconnect Consortium, 줄여서 OIC 라는 단체가 출범했습니다. 이 단체는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회사들이 모여서 설립되었는데요. Intel, Dell, Samsung, Atmel, Broadcom..
IoT 는 기본적으로 사물들이 인터넷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는 중요한 전제가 있습니다. 기업시장에서는 BYOD 와 각종 센서들까지 접속을 필요로 하는 기기들이 엄청나게 많아질 것이므로, 접속속도..
|
|
|
|
+ [connec2u.com] | 2014. 8. 25. 17:20
|

Google 처럼 시장을 맘대로 주무르면서 편하게 사업하는 기업도 없다는 없는 것 같지만, 사실 알고보면 Google 도 많은 실패를 겪었던 전력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Google Wallet 을 들 수 있는데요. Google 은 스마트폰이 신용카드처럼 쓰이길 바랬지만, 이동통신사와의 적절한 상생협력관계를 이끌어내지 못해서 실패했죠.
Google Wallet 이 왜 실패했으며, 또 앞으로 Google 이 대응할 방향과 Apple 이나 Amazon 같은 기업들의 추후 방향까지 재미있는 분석을 한 기사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는데요. - Google Wallet 1.0 은 아주 제대로 망했음.
- 제대로 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Google 이 도적할만한 여러 환경변화가 있음.
- 앞으로 6개월내에 Google의 대대적인 시장공략이 시작될 것임.
글쓴이는 먼저 Google 이 모바일 결제시장이 매우 복잡한 역학관계에 놓여있음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지적합니다. NFC 를 이용한 결제시장을 위해 북미 이동통신사들이 공동으로 설립한 ISIS 가 이 시장을 먹기 위해 준비중이었을만큼, 기존 경쟁관계에 제대로 끼지도 못한 채 나가떨어졌습니다. (참고로, ISIS 에서 NFC 인증을 받지 못하면 단말기 제조사는 북미 이동통신사에 단말기를 납품할 수 없습니다.)
...
(원문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원문보기 > connec2u.com
|
Amazon Payments,
google wallet,
HCE,
iPhone6
|
8
|
|
|
|
|
|
|
|
|
|
+ [connec2u.com] | 2014. 7. 17. 18:56
|

2일전, 애플은 iTunes Pass 라는 Apple Store 에 한해 사용할 수 있는 선불형 지불시스템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미국과 호주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용국가를 늘렸다고 발표했습니다.
iTunes Pass 는 Passbook 을 이용하는 QR코드기반 지불시스템인데, 현금을 Apple Store 직원에게 지불하면 충전할 수 있습니다.
사용처도 iTunes 나 몇몇 나라의 Apple Store 에 한정되어 있고, 일반적인 선불카드와 사용방법이 같다는 점에서 보면 별거 아닌 것처럼 보입니다.
게다가 Apple Store 에서는 이미 gift card 도 팔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면 Apple Store 에서 실제 제품을 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Tunes 에서 원하는 디지털 상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일종의 결제모델 실험이라고 보는 시각이 있습니다. 저도 여기에 찬성하는데, iTunes 를 기준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시장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첫 발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
(전문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전문보기 > connec2u.com
|
Apple Store,
iTunes Pass,
Mobile Payments,
Passbook
|
3
|
|
|
|
|
|
|
|
|
|
+ [connec2u.com] | 2014. 7. 17. 12:01
|

Microsoft 와 삼성이 Intel 주도의 OIC 에 참여한다는 뉴스가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이번에는 Nest 가 주도하는 Thread Group 에 ARM 과 삼성이 참여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Nest 는 Google 의 자회사이기 때문에, 독립적인 기술개발은 이뤄지겠지만 어느 정도 Google 의 사업방향에 좌우되는 상황입니다. 여기에도 삼성이 참여한다는 것은 삼성답다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또한, 그럴만한 역량이 된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Thread Group 은 Intel 의 OIC 나 퀄컴의 AllJoyn 과는 달리 별도의 규격을 만드는 것은 아니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대신, 현재 나와있는 규격들을 잘 통합하고 이들위에 security, routing, setup 그리고 device wakeup 같은 기능들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올려서 IoT 기기들을 사용자들이 더 쓰기 쉽게 만들고, 배터리사용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이런 접근방법은 Nest 의 기본적인 전략과도 일치하며, OIC 나 AllJoyn 의 방향보다는 오히려 보안과 라우팅, 셋업, 디바이스 깨움등과 관련된다는 측면에서 영국정부가 주도하고 있고, ARM 도 참여하고 있는 HyperCat 과 겹치는 면이 있습니다. (HyperCat 은 Hyperlink Catalog 의 줄임말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
(전문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전문보기 > connec2u.com
|
Alljoyn,
ARM,
Hypercat,
nest,
OIC,
thread group,
삼성
|
4
|
|
|
|
|
|
|
|
|
|
+ [connec2u.com] | 2014. 7. 16. 14:08
|

NFC 와 Bluetooth 의 승부는 아직 전운이 감도는 하지만, 본격적인 전투는 벌어지지 않은 전장과도 같습니다.
대체적인 평가로는 POS 같이 물리적인 접촉행위가 소비자에게 안심을 주거나 비교적 자유롭게 통행해도 괜찮은 주출입통로의 출입증등의 용도로는 NFC 가 괜찮지만, 그 밖의 용도로는 Bluetooth 가 더 낫다는 평입니다.
이런 평가때문인지 NFC 는 기존의 시장을 수성하기 위해 물리적인 Secure Element 를 우회하는 HCE 를 내놓는 등 비교적 수성의 위치에 있는 듯 합니다.
반면, Bluetooth 는 BLE 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NFC 의 시장을 잠식해 들어갈것처럼 세몰이를 하고 있습니다. 결제시장을 BLE 가 다 차지할 것 같은 기사들이 한동안 쏟아졌었습니다.
하지만, BLE 는 결제 트랜잭션을 위한 Carrier 만 제공할 뿐, 실제 결제를 위한 구현은 BLE 의 밖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과 트랜잭션이 보안에 취약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BLE 와 결제에 대한 얘기는 이제 더 이상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PayPal 은 나름대로 훌륭하게 독자적인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이죠.)
Will Bluetooth kill the NFC chip? 라는 기사에서는 이런 현재의 전문가들의 시각을 종합해서 담고 있습니다.
Bluetooth 에게 돈을 걸겠다는 사람도 있고, 한동안 같이 갈 것이다라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물론, NFC 가 완전히 승리를 거둔다고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시장을 나눠서 생각해보는 것도 관전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Auto Location 이나 Location Based Service 에 대해 생각을 해본다면, 이는 NFC 와 BLE 간의 혼전이 예상됩니다...
(전문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전문보기 > connec2u.com
|
ble,
bluetooth,
HCE,
MagicBand,
NFC
|
7
|
|
|
|
|
|
|
|
|
|
+ [나의 관심사/IT 소식 리뷰] | 2014. 7. 11. 14:34
|


예전에 갤2 를 어떻게 활용할까 찾아보다가 국제판인 i9100 롬을 올리면 CM11 정식판을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죠. 오늘 확인해보니 마침 CM11 의 snapshot 이 있길래 올려봤는데 역시 빠릿합니다. ART 도 잘 되고요. 정말 갤2 는 역대급 명기인거같아요.
|
CM11,
i9100,
갤S2,
갤럭시s2
|
5
|
|
|
|
|
|
|
|
|
|
+ [connec2u.com] | 2014. 7. 9. 15:40
|

Open Interconnect Consortium, 줄여서 OIC 라는 단체가 출범했습니다. 이 단체는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회사들이 모여서 설립되었는데요. Intel, Dell, Samsung, Atmel, Broadcom, Wind River 가 있습니다.
모두 IoT 에서는 나름대로 준비를 하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IoT 의 규격을 이끌고, 오픈소스화해서 공개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습니다.
그런데, 각자 규모가 있는 회사들이 왜 OIC 라는 단체를 만들고, 규격을 오픈소스로 내놓겠다고 하는 것일까요?
그 이면에는 Qualcomm 의 AllJoyn 이 있습니다. IoT 시장에는 ABQ (Anything But Qualcomm), 즉 퀄컴을 강하게 의식하는 기류가 있습니다...
(전문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전문보기 > connec2u.com
|
Alljoyn,
ALLSEEN ALLIANCE,
Apple,
Google,
nest,
OIC,
Qualcomm
|
3
|
|
|
|
|
|
|
|
|
|
+ [나의 관심사/IT 소식 리뷰] | 2014. 7. 9. 11:08
|

"브라질 월드컵 경기결과" 이렇게 물어봤고요. "브라질은 팀이 독일에게 7-1 점수로 패배했습니다" 라고 답해주네요. 뭔가 문장이 좀 이상하지만, 점점 똘똘해지는거 갈습니다. ^^
|
0
|
|
|
|
|
|
|
|
|
|
+ [나의 관심사/IT 소식 리뷰] | 2014. 7. 8. 15:26
|

약간 시간이 나서 그동안 제가 관리하던 단말들에 어떤 업데이트가 있었나 봤는데, Ray 용 KitKat 올리던 사람이 다시 작업을 시작했더군요.
4.4.4 기반 CM11 인데 잠깐 써보니 Ray 를 혹사하는거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
기본 gapps 깔고, ART 로 바꾸고, 개발자모드에서 2D GPU 강제적용하고, 구글검색업데이트하고, 행아웃과 딩굴 설치정도만 했는데 램은 412MB 에서 175MB 남고요. 스토리지는 469MB 에서 63MB 정도 남네요. (gapps minimal 을 설치하거나 ART 를 포기하면 좀 나을듯도 하네요.)
이 상태에서 Temple Run 을 설치해보니 sdcard 에 설치되었고, 약간 끊기는듯 했지만 할만했고요. Temple Run 2 와 Fruit Ninja 는 용량때문에 설치가 안되고, Cut the Rope 는 게임진행하기가 곤란할 정도로 느리네요. 내장브라우저로 클리앙에 들어와봤는데 조금 인내를 요구하네요 -.- (아마 userdebug 버전이라 조금 더 느리긴 할겁니다.)
구글검색 업데이트하고 Ok Google~ 해봤는데 조금 인식률이 떨어지네요. 가끔 됩니다 -.-
그리고, 아직 sound path 쪽 문제가 있는지 이어폰을 꽂아도 스피커로 소리가 나는 문제있고요.
결론적으로 통화와 사진촬영정도를 위해 들고다니는 (라이딩용?) 용도말고는 쓰기가 곤란해보였습니다. 화면도 너무 작고요.
암튼 정식버전 나올때까지는 계속 올려보면서 (ART 는 포기해야 -.-) 테스트해보렵니다.
|
CM11,
Ray,
레이,
소니,
엑스페리아,
킷캣
|
3
|
|
|
|
|
|
|
|
|
|
+ [connec2u.com] | 2014. 7. 7. 13:12
|

IoT 는 기본적으로 사물들이 인터넷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는 중요한 전제가 있습니다.
기업시장에서는 BYOD 와 각종 센서들까지 접속을 필요로 하는 기기들이 엄청나게 많아질 것이므로, 접속속도보다는 접속기기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더 큰 수요를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가정에 한정해서 얘기한다면 접속기기수보다는 접속속도에 더 큰 비중을 두는 전략을 취할 것으로 보입니다.
퀄컴은 2015년 중반부터 시장에 본격적으로 사용될 스냅드래곤810 에 WiGig 을 포함시킬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WiGig 는 IEEE 802.11 AD 스펙을 말하는 것으로, 60GHz 주파수로 최대 속도 7Gbit/s (864MB/s) 에 이르는 속도를 지원합니다.
이런 빠른 속도는 가정내 모든 유선랜케이블을 제거하기 위함이며, 4K 영상을 HDMI 케이블로 TV 를 연결해서 보는 것까지 대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설계목적으로 잘 사용된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4K 영상을 보는 것도 무선으로 할 수 있는 시대가 될 것입니다...
(전문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전문보기 > connec2u.com
|
802.11ad,
connected home,
Qualcomm,
WiGig
|
1
|
|
|
|
|
|
|
|
|
|
+ [connec2u.com] | 2014. 7. 7. 11:47
|

Microsoft 가 AllJoyn 에 합류했다는 기사가 떴네요.
Google 은 Nest 와 Android 로, Apple 은 iOS 로 IoT 시장을 접수하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기업용시장에 만만찮은 지분을 가지고 있는 Microsoft 의 AllJoyn 합류는 꽤 흥미있는 포석이라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 국내에 한정한다면 iOS 는 비중을 낮추고, AllJoyn 에 좀 더 비중을 높이되, Google 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전문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전문보기 > connec2u.com
|
Alljoyn,
Microsoft
|
3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