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oogle 처럼 시장을 맘대로 주무르면서 편하게 사업하는 기업도 없다는 없는 것 같지만, 사실 알고보면 Google 도 많은 실패를 겪었던 전력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Google Wallet 을 들 수 있는데요. Googl..
2일전, 애플은 iTunes Pass 라는 Apple Store 에 한해 사용할 수 있는 선불형 지불시스템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미국과 호주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용국가를 늘렸다고 발표했습니다. iTunes Pa..
Microsoft 와 삼성이 Intel 주도의 OIC 에 참여한다는 뉴스가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이번에는 Nest 가 주도하는 Thread Group 에 ARM 과 삼성이 참여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Nest 는 Goo..
NFC 와 Bluetooth 의 승부는 아직 전운이 감도는 하지만, 본격적인 전투는 벌어지지 않은 전장과도 같습니다. 대체적인 평가로는 POS 같이 물리적인 접촉행위가 소비자에게 안심을 주거나 비교적 자유롭게 통행해도 괜찮은 ..
Open Interconnect Consortium, 줄여서 OIC 라는 단체가 출범했습니다. 이 단체는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회사들이 모여서 설립되었는데요. Intel, Dell, Samsung, Atmel, Broadcom..
IoT 는 기본적으로 사물들이 인터넷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는 중요한 전제가 있습니다. 기업시장에서는 BYOD 와 각종 센서들까지 접속을 필요로 하는 기기들이 엄청나게 많아질 것이므로, 접속속도..
|
|
|
|
+ [connec2u.com] | 2014.07.07 11:47
|

Microsoft 가 AllJoyn 에 합류했다는 기사가 떴네요.
Google 은 Nest 와 Android 로, Apple 은 iOS 로 IoT 시장을 접수하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기업용시장에 만만찮은 지분을 가지고 있는 Microsoft 의 AllJoyn 합류는 꽤 흥미있는 포석이라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 국내에 한정한다면 iOS 는 비중을 낮추고, AllJoyn 에 좀 더 비중을 높이되, Google 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전문은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전문보기 > connec2u.com
|
Alljoyn,
Microsoft
|
3
|
|
|
|
|
|
|
|
|
|
+ [connec2u.com] | 2014.05.09 19:53
|

Motorola Solutions 가 MPact 라는 Mobile In-store Marketing 솔루션을 내놓았습니다. (Google이 사서 Lenovo에게 팔아넘긴 것은 Motorola Mobility 입니다.)
MPact 는 iBeacon 과 WiFi AP 부터 구매패턴분석등의 Mobile in-store marketing 일체를 포함하는 솔루션입니다.
Walmart 와 Walgreens 의 Duane Reade 라는 의약품체인이 MPact 를 도입했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Walmart 는 아직 매장에서의 판매비율이 90% 를 상회하고 있는 현실에서 매장내 고객의 Indoor Positioning System (IPS) 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번에 MPact 를 통해서 이를 실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아직은 정식서비스를 하기 전이며 실험단계에 머물러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Motorola 는 이미 WiFi AP 를 이용한 IPS 는 이미 솔루션을 가지고 있었으며, iBeacon 을 함께 이용하는 솔루션으로 발전한 것 같습니다.)
Duane Reade 는 뉴욕소재의 상점들에 iBeacon 을 설치해서 고객의 구매패턴등에 기반한 프로모션이나 안내노티를 내보내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Mobile In-store marketing 솔루션을 내놓고 있는 회사들이 이제 제법 되는데, 규모가 있는 회사로는 Qualcomm 의 Gimbal 과 inMarket 등이 있습니다.
Mobile I-store marketing 도 하나의 솔루션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Motorola Solutions 가 Microsoft 로부터 Android 와 Chrome OS 에 대한 특허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입니다. Android 나 Chrome OS 에 기반한 근무자용 디바이스 혹은 POS 를 계획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가능하게 합니다.)
참고보기 > Walgreens and Walmart testing iBeacon, Motorola Solutions launches iBeacon marketing platform 참고보기 > inMarket lets specific brands, not just retailers, target shoppers using iBeacons in-store 참고보기 > MPact Mobile Marketing Platform 참고보기 > Motorola Solutions takes Microsoft's 24th Android patent license 참고보기 > connec2u.com
|
Android patent license,
Duane Reade,
Gimbal,
inMarket,
Microsoft,
Mobile In-store Marketing,
Motorola Solutions,
MPact,
POS,
Qualcomm,
Walgreens,
Walmart
|
4
|
|
|
|
|
|
|
|
|
|
+ [connec2u.com] | 2014.05.09 12:56
|

2014/6/18 부터 이틀간 열리는 IBcon 에서 IT 계의 거물들이 모여 부동산 특히 빌딩관리와 같은 분야에서 IoT 를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고 합니다.
참여하는 기업들은 Cisco, Google, Intel, Microsoft, Tridium 그리고 Yardi 입니다.
IoT 를 경영관점에서 봤을 때 가장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좋고, 성과를 낼 수 있는 방법도 찾기 쉬운 것이 빌딩관리 분야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Google 은 Indoor Positioning 에, Microsoft 는 Front End 와 BigData 솔루션으로, 그리고 Tridium 과 Yardi 는 해당 분야의 전통기업으로 논의관점을 잡고 시작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Qualcomm 이나 IBM, Apple 같은 기업들이 빠진 것은 아직 이 분야에 발을 들여놓기에 자사 솔루션이 부족한 것이 원인이지 않을까 싶네요.)
관련 분야의 전문기업들과 IT 계의 거물들이 이 분야의 IoT 적용을 놓고 논의한다고 하니 이색적이면서도 IoT 의 넓은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사입니다.
(Cisco 가 참여한다니 IoT 라는 용어 대신 IoE 를 쓰고 싶어할 듯도 합니다.)
원문보기 > Cisco, Google, Intel, Microsoft, Tridium & Yardi to Discuss the Internet of Things and Its Impact on Commercial and Corporate Real Estate at Realcomm | IBcon 2014 참고보기 > connec2u.com
|
BuildingManagement,
CISCO,
Google,
IBcon,
intel,
IoE,
Microsoft,
Realcomm,
RealEstate,
Tridium,
Yardi
|
6
|
|
|
|
|
|
|
|
|
|
+ [connec2u.com] | 2014.04.28 18:23
|

Arrayent 는 캘리포니아 레드몬드 본사를 두고 있는 IoT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여러모로 상당한 실적을 거두고 있는데요.
이 기사에서는 다음 3가지 방법으로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 임베디드 기기에 embedded software 를 $1 ~ $5 에 라이선스를 주고 있음. - 전용 클라우드 서비스에 이용회사당 $50,000 ~ $1,000,000 에 라이선스료를 받고 있음. - 기기들간 연결을 위한 모바일과 웹용 개발킷을 $100,000 ~ $1,000,000 에 팔고 있음.
이미 잘 알려진 BM 으로 상당한 수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요.
이미 Qualcomm 이나 Microsoft, ARM 이 관련 BM 에 진출했거나 진출할 예정인 가운데, Intel 도 출사표를 던지려고 하고 있는 상황이라 관련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 지켜보는 것도 포인트이겠습니다.
원문보기 > How does Arrayent make money? 참고보기 > Arrayent 참고보기 > conne2u.com
|
ARM,
Arrayent,
intel,
Microsoft,
Qualcomm,
revenue,
sdk
|
2
|
|
|
|
|
|
|
|
|
|
+ [나의 관심사/잡담] | 2007.01.27 17:12
|
새로운 회사에 입사해서 개발용 노트북을 받았습니다. (새로 입사하니 정신없이 바쁘군요. 블로그에도 신경을 많이 써야 하는데 -.-)
그래서, 이 노트북을 세팅할 겸 집에 가져와서 셋업중인데요.
PC 로부터 여러 파일들을 노트북으로 가져오려고 1394 선을 PC 와 노트북간에 연결했는데, XP 에서 보이던 네트워크 옵션이 Vista 에서는 보이질 않더군요.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다가 안되서 구글링을 해보니 Microsoft 에서 더 이상 IEEE 1394 네트워크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http://www.microsoft.com/whdc/system/bus/1394/IP_1394.mspx
되던 기능을 뺀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정치적인 혹은 전략적인 이유일 때가 많을겁니다.
IEEE 1394 는 소니와 애플이 애용하는 것이니까 이에 대한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뭐 이런 추측에 근거가 있다거나 이런 추측을 뒷받침할 다른 네트워크 수단이 Microsoft 에게 있는지는 저도 잘 모릅니다. 하지만, 되던게 안되니 너무 속상하군요.
우리나라와 일본은 우연찮게도 1, 2, 3위 무선망 사업자가 각각 6:3:1 이라는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데요. Microsoft 에게도 이런 환경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뜬금없이 듭니다.
에휴. 전 필요한 파일들을 무선 공유기로 복사하면서 하염없이 기다리면서 어딘가 방구석에 처박혀있는 DVD-RW 나 찾아봐야 겠습니다.
|
1394,
Apple,
Microsoft,
Sony
|
4
|
|
|
|
|
|
|
|
|
|
+ [나의 관심사/IT 소식 리뷰] | 2007.01.16 04:17
|
제목이 다소 찌라시 느낌이 나는군요 ㅋㅋ
요근래에 알게된 WPF 사이트가 있습니다.
http://www.thewpfblog.com
제가 이전 포스팅에서 Vista 가 겨눈 칼끝은 Sun Microsystems 도 아니고, Firefox 도 아닌 Google 과 Adobe 라고 말씀드렸는데요. Adobe 에 대한 칼은 WPF 죠. WPF 에 대한 최근 동향이 이 사이트에 잘 소개되어 있습니다.
WPF 를 이용한 전략은 다음 URL 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http://thewpfblog.com/examples/wpfe/microbe/Default.html
이것은 Flash 개발에서 WPF/E 로 서서히 마이그레이션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기술적인 내용은 아직 잘 모르지만, 한 웹페이지 내에서 WPF/E 와 Flash 가 서로 통신하면서 잘 동작하고 있네요.
WPF 의 최근 동향을 잘 나타내면서 좀 아이러니한 것은 야후 메신저의 WPF 버전입니다.
http://thewpfblog.com/?p=76
현 시점에서는 아직 프로그램을 설치해볼 수는 없고, 시연 동영상을 볼 수 있는데요. WPF 의 특징을 아주 잘 살려서 만들어놓았네요. (약간 사족이지만, Vista 를 처음 깔고 트레이바에 있던 시간을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달력을 봤을 때의 신선한 충격이 기억납니다. Web 2.0 의 AJAX 가 최소한 어느 시장에서는 WPF 로 인해 무력화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그런데, Microsoft Live Messenger 보다 야후 메신저가 먼저 WPF 로 나오는 것도 그렇고, 시연동영상을 Flash 를 통해서 보여주는 것도 좀 아이러니하군요.
Adobe 가 Apollo 라는 데스크탑용 프레임웍을 내놓았지만, 상대적으로 (제가 볼 때는 절대적으로도) 뒤지는 개발환경때문에 WPF 가 Flash 개발자들에게 어필하는 속도보다는 느릴 것 같습니다.
이제 또 다시 Microsoft 가 전개하는 제국의 역습을 구경할 때가 된 것 같네요.
저야 이기는 편이 내편(-.-) 이지만, 아키텍처적으로는 WPF 의 손을 들어주고 싶긴 합니다.
내년쯤 되면 방향이 잡히지 않을까 싶네요.
|
Adobe,
Ajax,
Microsoft,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WPF
|
2
|
|
|
|
|
|
|
|
|
|
+ [나의 관심사/IT 소식 리뷰] | 2006.12.21 05:35
|
Microsoft Expression 제품군이 정식출시됐습니다.
http://www.microsoft.com/products/expression/en/default.mspx
아직 일부만 구매가능한 상태이긴 하지만, 정식출시의 의미가 제품군의 종류와 성격의 확정이라는 점에서 정식오픈이라고 봐도 될 듯 합니다. 제품군이 이전과는 약간 달라졌는데요.
- Expression Web: Section 508 과 W3C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 를 만족하는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Section 508 은 미정부에서 요구하는 웹사이트 기준인 듯 합니다.)
- Expression Blend: 이전에는 Interactive 라는 이름을 가졌었죠. 본격적인 디자이너를 위한 개발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보다는 개발자가 디자이너와 통신(?)하기 위한 전용 툴이라고 하는 것이 더 좋을지도 모르겠군요.
- Expression Design: 제가 Vista 에서 Microsoft 가 타겟으로 삼은 것이 Google 과 함께 Adobe 라고 생각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데요. Design 은 디자이너가 개발을 위해 더 이상 Photoshop 이나 Flash 등을 쓰지 말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결과는 시간이 말해주겠지만 은근히 양대산맥으로 성장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Expression Media: Design 을 Photoshop 과 비교했을 때, Design 이 개발툴을 위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면 Photoshop 은 디자이너툴의 모습을 가지고 있죠. Media 는 새로 Expression 제품군에 편입된 제품인데, 앞서 말한 디자이너툴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디지털 미디어 파일을 여러 용도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네요.
Microsoft 가 Vista 와 함께 (물론, XP 와 Server 2003 에서도 쓸 수 있지만) 내놓은 Expression 의 앞날은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Microsoft 가 펼쳐놓은 새로운 개념 자체로만 본다면 성공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도 관심을 가지고 계속 지켜봐야겠지요.
|
Microsoft,
Web Service,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
0
|
|
|
|
|
|
|